농업정책에 음식 교육을 포함시키고, 음식 교육을 대대적으로 실시해야 합니다. http://blog.naver.com/haneulyeon13/220629426477
좋은 자료 공유합니다. 감사합니다.
WTO 농업 관련 대책비로 천문학적 금액의 돈이 투입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식량자급률은 낮아지고, 농민들이 부채를 더 많이 지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여러 원인의 산물이지만, 특히 '규모의 경제'에 매달린 정책의 탓도 크게 작용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경우 경지 규모가 작아 외국과 규모의 경쟁을 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음에도 계속해서 그러한 정책을 지향했기 때문입니다.
우리 농업이 외국과 경쟁할 수 있는 방안은 수입농산물과 다른 차별화된 농산물 생산에서 찾아야 합니다.
'사람사는 세상 > 한국의 농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옥수수의 습격 (0) | 2016.03.10 |
---|---|
미국산 쌀 수입하면서 우리쌀 감산이라니(사설 :민중의 소리) (0) | 2016.03.10 |
[스크랩] 낮은 식량자급률의 비용과 대응 (0) | 2016.03.10 |
우리나라 농업 통계(수치로 보는 농업) (0) | 2016.03.10 |
[스크랩] 흔들리는 식량주권.. 현실로 체감 (0) | 2016.03.09 |